서비스기획

[TIL] Google Analytics 4 - 6/30

TeoJeon 2023. 6. 30. 22:55

포스팅 목차

    기초 이벤트 VS 맞춤 이벤트

    처음 GA를 시작하면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고, 구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벤트

     

    기초 이벤트

    1. page_view: 웹페이지를 조회할 때
    2. first_visit: 처음 방문했을 때
    3. session_start: 세션이 새롭게 시작
    4. user_engagement: 두번 이상 페이지뷰 이벤트 && 페이지뷰 10초 이상

    맞춤 이벤트 예시

    1. add_payment_info: 결제 정보 추가
    2. add_to_cart: 사용자가 장바구니 추가
    3. purchase: 구매 완료
    4. refund: 환불

    맞춤 이벤트는 예시일뿐 그 외에도 여러가지가

    개인정보로 인해서 

     

     

    이벤트 설정하기

    GA는 그냥 저장하고, 분석하는 용도이고 실제로 웹 사이트에 이벤트를 지정하는 것은 GTM을 통해 태그를 생성해서 지정한다

     

    GTM 구조 이해

    출처: 그로스쿨
    출처: 그로스쿨

     

     

     

    태그가 잘 달렸는지 확인하기

    크롬 웹 스토어에서 "Google Tag Assistant"를 검색해서 설치한다.

    해당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각 페이지마다 달려있는 태그들을 확인할 수 있다.

    GA와 같이 Web Log 툴을 사용하는 회사인지 아닌지는 해당 툴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태그를 볼 수 있다.

     

     

    GTM에서 태그에 들어가면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태그를 생성하는 페이지에 가면 태그, 트리거를 등록할 수 있는 창이 나온다.

    이 때 트리거는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데이터를 저장할지 보는 것이고, 태그는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지 정해둔 셋이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내가 지정한 태그, 트리거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Debug View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또한 크롬 확장 프로그램 "Google Analytics Debugger"를 설치해서 활용할 수 있다.

     

    Google Analytics Debugger를 설치 후 GA를 설치한 페이지에서 활동하면 다음과 같이 GA의 Debug View에서 활동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2~3초 정도 딜레이가 있다)

     

    트리거와 매개변수에 대한 조건을 설정해서 맞춤형 이벤트를 따로 설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Debug View"와 같은 Depth에 이벤트 탭에서 해당 설정이 가능하다.

     

     

    트리거, 이벤트 설계

    AARRR을 통해 고객 유입을 단계별로 나눠서 지표를 관리해야 한다.

    트리거나 이벤트를 통해 해당 지표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뷰저블

    사용자가 어디서 많이 이탈하는지, 어디에서 주목하는지 볼 수 있는 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