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리서치 5

[TIL] 서비스 기획자가 신경써야 할 정책, 프로젝트 관리 - 5/18

정책 서비스 기획자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법이나 정책에 저촉되지는 않는지 확인해야 하고, 기획한 서비스의 정책 또한 기획해야 한다. 자 그럼 어떤 것을 먼저 확인해야 할까? 지식 재산권 산업재산권 상표권 디자인권 특허권 실용신안권 저작권 저작재산권 저작인격권 저작인접권 신지식재산권 산업저작권 첨단산업재산권 정보재산권 기타 사업자 및 추가 등록 사업자 등록 신고 부가통신사업 통신판매업 소프트웨어사업자 등록/허가 인터넷발송문자사업자 게임제작업/배급업 위치정보사업자 소비자보호법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개인정보 유출 방지법 광고 및 마케팅 관련 광고 표시 기준 소비자 동의 여부 어우 보기만해도 숨이 막힐 거 같다. 지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대강 파악만 하고, 실제로 기획을..

서비스기획 2023.05.18

[TIL] 데이터 리터러시 - 5/17

1. 데이터 리터러시 : 데이터를 활용 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내가 서비스 기획자 과정을 시작하게 된 계기다. 일상 속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나의 주장은 있는데 항상 객관적인 근거가 없었다. 문제점 또한 내가 정의하는 것이 데이터를 찾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신청하게 되었다. 데이터란? 이론을 세우는 데 기초가 되는 사실 또는 바탕이 되는 자료 관찰이나 실험, 조사로 얻은 사실이나 자료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문자, 소리, 그림, 숫자 따위의 형태로 된 자료 요즘 데이터, 데이터 하는데 왜 중요한걸까?... 예를 들어 덥다 VS 평균 기온 40도 차이가 느껴지는가? -> 단순히 추상적인 표현보다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 훨씬 공감하기 쉽고, 신뢰도..

서비스기획 2023.05.17

[TIL] 행동경제, 심리학 - 5/16

IT 서비스 기획은 이와 같은 단계가 쌓여서 완성된다. 그렇다보니 기획자는 비즈니스, 개발, 디자인, UX/UI, 디자인 모든 분야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물론 사람이다보니 모든 분야를 다 잘할 수는 없겠지만 특화된 부분을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나는 기존에 개발 공부를 했고, 창업에 관심이 있어서 BM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비즈니스, 개발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 거 같다. 자 그럼 기획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분야들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비즈니스를 잘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사용하고 싶게 만들거나, 구매하고 싶게 만드는 심리를 유발해야 하기 때문에 심리학, 행동경제학이 필요하다. 자 많은 심리들이 있지만 흔히들 사용하는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상 유지 편향: Status qu..

서비스기획 2023.05.16

[TIL] 데스크 리서치 실습 - 5/15

청년취업사관학교의 서비스 기획자 과정 수업 중에 회사를 하나 선택하여 해당 회사 소속의 기획자라고 생각하고, 리서치를 해보는 과제가 있었다. 데스크리서치와 타겟리서치를 통해 시장, 경쟁사, 고객, 자사 경쟁력을 조사하고, 타겟이 되는 고객,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 페인 포인트, 시장성, 차별화 등의 결론을 도출 기업의 카테고리가 인공지능, 헬스/바이오, 실버 이렇게 3가지 키워드가 주어졌는데 우리 조는 헬스/바이오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아서 헬스/바이오를 선택했다. 그 중에도 기업을 리스트업을 했는데 그 중 비대면 진료 서비스와 러닝 어플을 리서치를 시작하기 앞서 어떤 것을 조사할지 먼저 정했다. 분석할 항목 시장 조사 시장 규모 시장 동향 경쟁사 조사 경쟁사 정의 경쟁사 분석 경쟁사 기능 경쟁사 이용자층..

서비스기획 2023.05.15

[TIL] 리서치(데스크, 타겟) - 5/12

오늘은 UX Research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UX…. 사용자 경험이라고는 알고 있는데 도대체 그게 뭘 말하는걸까? UX를 먼저 알아보자. UX (User experience) ‘User experience’는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서비스, 제품 등을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을 뜻한다. UX는 애플 컴퓨터의 부사장 도널드 노먼이 만든 용어인데 휴먼 인터페이스나 사용성(Usablity) 같은 표현이 지나치게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스템을 경험하는 과정에 대한 모든 측면을 아우르고자 UX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고 한다. 즉, UX를 디자인한다고 하면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을 좋은 경험이라고 느끼도록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그럼 항상 같이 나오는 UI는 뭐지? ‘U..

서비스기획 202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