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목차
정보구조: Information Architecture
: 서비스의 뼈대를 만들기 위해 기획자가 가장 먼저 작성하는 문서.
정보구조 설계는?
프로젝트 그룹의 중심 역할이 되는 작업
IA의 목적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 내 정보를 유기적으로 구성하고 구조를 만드는 데 있다.
IA를 그리는 시기
- 신규 IT 프로덕트 기획
- 기존 IT 프로덕트 리뉴얼
** 기존 서비스에서 약간 개선하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꼭 그려보자!
-> 기존 서비스의 구조를 파악하는 동시에 어떤 부분이 불편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IA 설계 단계
IA 설계 시
우리가 제공할
서비스(Content)를
사용자(User)가
어떤 상황(Context)에서
사용할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좋은 IA 설계의 필수적인 선행 과제이다.
효과적인 IA를 위한 3가지
-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이름(Ontology)
- 같은 속성의 그룹(Taxonomy)
- 원하는 정보의 연결(Chorography)
Wire-frame
Wire-frame이란?
- 디자인이 들어가기 전 단계에서 선(Wire)을 이용한 윤곽(Frame)을 잡는 것
- 기획자가 생각하는 서비스의 모습을 가시화한 결과물(완성도 높은 디자인이 필요하지 않음)
- 구조도를 시각화해서 서비스 설계의 오류를 찾아 보완하는 작업
'서비스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화면설계서 - 6/14 (0) | 2023.06.14 |
---|---|
[TIL] 와이어프레임, 디자인 시스템 - 6/13 (0) | 2023.06.13 |
[TIL] 포트폴리오 컨설팅 - 6/9 (0) | 2023.06.09 |
[TIL] IT 프로덕트 설계할 때 알아야 하는 것, 요구사항 분석 - 6/8 (0) | 2023.06.08 |
[TIL] 고객 인터뷰 정리, 피봇팅 - 6/7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