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기획

[TIL] 기업 실무자 인터뷰 사전 질문, 솔루션, 고객 인터뷰 - 5/31

TeoJeon 2023. 5. 31. 18:51

포스팅 목차

    오늘은 배민의 실무자께 인터뷰 사전 질문목록을 공유드리고, 전 날까지 정의한 문제 혹은 목표들을 개선하기 위해 솔루션 스케치를 진행했다.

     

    기업 실무자 인터뷰 사전 질문

    오늘은 1시간 일찍 9시에 모여서 우아한 형제들 인터뷰 사전 질문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나는 30분 일찍 도착해서 오늘 해야할 일을 검토하고, 인터뷰 사전 질문을 다듬었다.

    마침 멘토님도 일찍 오셔서 전날 리스트업한 질문 목록을 보여드리고, 혹시 기업에서 예민하게 생각할 질문은 없는지, 불필요한 질문은 없는지 피드백을 받았다.

     

    1. 라포형성을 위해 가볍게 시작하는 질문에서는 질문보다는 긍정적인 사용 후기를 말하기
    2. 질문을 할 때 조사한 내용을 첨가해서 관심도 표현하기
    3. 정보 제공과 같이 기업에서 예민한 부분은 직접적으로 요구하기 않기
    4. 어떤 글을 쓰든 부연 설명이 필요하지 않도록
    5.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대응 방식을 물어볼 때 구체적 사례는 언급하지 않기
    6. 불필요한 질문은 최대한 제외하고, 인터뷰 시에 시간이 남을 때 구두로 지정하기
    7. 인터뷰 마무리 후 감사인사하고, 다음 일정도 그 자리에서 잡기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해서 다시 한번 검토하고, 수정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물론 정말 1시간 안에 마무리하지는 못하고, 쉬는 시간, 점심시간을 이용해서 5시 30분이 되어서야 마무리했다.

     


    솔루션

     

    번갯불데모

    : 솔루션을 도출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기존 아이디어/사례를 탐색하는 활동

     

    1. 목록 만들기
      • 솔루션을 떠올리는데 도움될 제품/서비스의 기능 제안
      • 무조건 비슷한 산업군의 서비스만을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집중해서 탐색
    2. 3분간 데모
      • 각자 자신이 제안한 제품을 팀원 전체에게 장점 위주로 소개
    3. 좋은 아이디어 포착

     

    여기서 나는 배민에서 특정 메뉴를 품절처리하는 기능에 집중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품절 기능은 이커머스에서 많이 보이는데 설정한 재고가 주문에 맞춰서 자동으로 차감되며, 판매자가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품절처리된다.

     

    이를 요식업에서도 매일 한정 수량을 판매하는 메뉴에 적용하면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 한정 수량에 비해 많은 주문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한정 수량만 준비하는 메뉴의 경우 남은 재고에 비해 많은 주문이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 사장님께서 주문한 고객들에게 취소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게 된다.
      • 품절되었다는 것은 바쁜 시간일 가능성이 높은데 여기에 시간을 소비하는 것도 큰 손실이다.
      • 또 별일없이 취소되면 다행이지만 이 과정에서 고객과의 마찰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 책임자가 신경써야할 부분이 하나 줄어든다.
      • 위의 문제를 겪지 않기 위해 한정 수량 메뉴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주문을 비교해야 한다.
      • 특히 재고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는 더 확실하게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있었다.

    • 홀, 다른 플랫폼과의 연동
      • 배민 안에서만 주문수량 관리가 가능하다.
      • 다른 플랫폼이나 홀에서 판매될 때마다 수동으로 재고를 동기화해줘야 한다.
        -> 오히려 손이 많이 가게 된다.
      • 포스기와 연동하면 해결되는 문제라고 생각되지만 배민에서 이런 부분에 대해서 API를 제공하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실현 가능하다고 확신할 수 없다.

     

    이렇게 각자 찾아온 아이디어와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은 이렇게 찾은 솔루션이나 아이디어를 참고해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스케치하는 시간을 가졌다.

    스케치

    1. 메모(20분)
      • 리서치, 번갯불 데모 내용 등을 참고해서 쓸모 있는 내용을 메모
    2. 아이디어 작성(20분)
      • 개략적인 아이디어 목록화
      • 그 중 가장 괜찮아 보이는 아이디어 선택
    3. 크레이지 에이트(8분)
      • 종이를 8칸으로 나눈 후 선택한 아이디어를 변형하면서 스케치
      • 한 스케치당 1분 할당
    4. 솔루션 스케치(30~90분)
      • 3개의 스토리보드가 만들어지도록 스케치
      • 설명하지 않아도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스케치
      • 귀에 쏙 들어오는 제목과 글 작성

     

    아래는 내가 진행한 스케치 내용이다.

    아이디어 작성 및 선택
    크레이지 에이트

     

    솔루션 스케치


    고객 인터뷰 모집

    인터뷰이를 모집할 채널을 리서치하고, 고객 인터뷰 모집글을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모집글의 경우에는 고객 담당 팀원이 혼자서 작성하고, 리서치는 모든 팀원이 짧은 시간동안 참여해서 작성했다.

     

    모집글 필수 요소

    1. 소개
    2. 목적
    3. 모집 대상
    4. 기간
    5. 신청방법

     

    모집할 채널은 요식업 사장님들이 계시는 네이버 카페, 카톡 오픈채팅방, 당근마켓의 동네생활을 이용하기로 했다.

     


    오늘의 KPT

     

     

    [Keep]

    • 항상 밝은 분위기에서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
    • 모든 조원의 열정적인 참여
    • 적재적소에 멘토님, 강사님께 질문 및 도움 요청

    [Problem]

    • 앞으로의 일정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지 않음
    • 기업 컨택 관련해서 상의한다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함.

    [Try]

    • 앞으로의 일정 파악해두기
    • 다른 조의 진도를 거의 다 따라잡았으니 실습 착실히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