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기획 42

[TIL] IT 프로덕트 설계할 때 알아야 하는 것, 요구사항 분석 - 6/8

IT 프로덕트를 설계할 때 알아야 하는 것 IT 제품은 3가지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접근성 -> 우리가 살고있는 현 시대는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일례로 스마트폰을 없는 사람을 찾기가 힘들다. 확장성 -> 다양한 프로덕트로 확장이 가능하다. 기민성 -> 고객의 피드백을 빠르게 수집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반영을 기민하게 할 수 있다. 성공하는 프로덕트를 만드는 3가지 요소 비전 사용자 가치 사업 수익 PM 업무에 필요한 3가지 영역 비즈니스: 프로덕트가 시장에서 사용자를 개발자와의 소통 기획안을 통보하는 것이 아니라 기획하는 과정부터 계속 소통해야 한다. -> 생각한 솔루션이 있다면 실제로 구현 가능한 지 확인할 수 있고, 솔루션이 떠오르지 않을 때도 소통하다보면 개발자가 먼저 솔루션을 제시할 ..

서비스기획 2023.06.08

[TIL] 고객 인터뷰 정리, 피봇팅 - 6/7

고객 인터뷰 정리 고객 인터뷰를 한눈에 보기 위해서 표로 나눠서 정리했다. 긍정 중립 부정 인사이트 기능1 기능2 기능3 기능4 전체 다음과 같이 표로 나눠서 정리를 하니 기능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눈에 잘 들어왔다. 요구사항 분석 개발에 들어가기 전에 개발할 기능을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구분해보는 요구사항 분석을 진행했다. 새로운 스프린트 진행 기존에 기획한 기능이 고객 인터뷰를 통해 크게 효용이 없다는 점을 깨닫고, 새롭게 아이디에이션을 하기로 했다. 다시 진행하는 거라 기존에 했던 모든 과정을 하기 보다는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정만 다시 진행하기로 했다. 장기목표 & 핵심질문 - 포괄적으로 모든 서비스에 대해서 아이디어를 내기보다 하나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집중이 필요함을 느낌 아이디..

서비스기획 2023.06.07

[TIL] 고객 인터뷰,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 6/5

오늘은 하루종일 고객인터뷰를 진행했다. 고객 인터뷰 지난주에 배달의 민족을 이용하는 가게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부탁드렸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를 진행하기 전에 역할을 분담했는데 1. 인터뷰 진행자 2. 프로토타입 체험 보조 및 서브 진행 3. 수기 기록 4. 녹취 및 사진촬영 이렇게 나눠서 들어갔다. 초밥, 다이어트식, 김치찌개, 카츠 이렇게 네 곳의 음식점과, 추가로 PC방, 포차, 한식 도시락 집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내 지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사 및 소개 2. 배민장부 사용경험 3. 프로토타입 체험 4. 프로토타입 후기 5. 마무리 인터뷰에 사용한 프로토타입은 다음과 같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면서 강사님과 멘토님께서 최대한 힘을 빼라고 말씀하셨는..

서비스기획 2023.06.05

[TIL] 디자인 스프린트 프로토타입, 고객 인터뷰 대상자 모집 - 6/2

프로토타입 디자인 스프린트를 할 때 가져야 할 프로토타입 사고방식 어떤 것이든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다, 프로토타입은 한번 쓰고 버릴 수 있어야 한다 테스트에서 무언가를 배울 수 있을 정도로만 구축, 더 이상은 금물! → 검증하고자 하는 부분 중심 설계 프로토타입은 진짜처럼 보여야 한다.(골디락스 품질) 프로토타입 제작 한명은 인터뷰 모집글을 올려야 하기 때문에 3명이서 프로토타입 제작을 진행했다. 최대한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담당을 나눠서 분배를 했다. 페이지, 탭 담당 - 기존 UI, UX의 틀을 가져와서 우리가 추가한 기능에 해당하는 페이지와 탭 제작 컴포넌트 담당 - 새로운 기능의 내용이 담긴 컴포넌트 제작 데이터, 문구 담당 - 그래프나 인사이트가 담긴 문구를 만들고, 만든다. 기능이 많다거나..

서비스기획 2023.06.04

[TIL] 고객 인터뷰, 솔루션 스케치 - 6/1

오늘 하루 일정 솔루션 결정 미술관 히트맵 스피트비판 여론조사 슈퍼의결권 행사(10분) 고객 인터뷰어 모집 & 스토리보드 활동 (120분) 솔루션 결정 활동 미술관 팀원마다 도출된 스케치를 벽면에 일렬로 부착합니다. 진행자가 스케치를 본인이 이해한 바대로 간단하게 설명을 하고, 다른 사람들은 그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합니다. 작성자는 그 비판에 대해서 당장 반박할 수 없습니다. -> 비판에 즉각적으로 반박하게 되면 다른 비판이 더 나올 시간에 토론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서비스기획 2023.06.01

[TIL] 기업 실무자 인터뷰 사전 질문, 솔루션, 고객 인터뷰 - 5/31

오늘은 배민의 실무자께 인터뷰 사전 질문목록을 공유드리고, 전 날까지 정의한 문제 혹은 목표들을 개선하기 위해 솔루션 스케치를 진행했다. 기업 실무자 인터뷰 사전 질문 오늘은 1시간 일찍 9시에 모여서 우아한 형제들 인터뷰 사전 질문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나는 30분 일찍 도착해서 오늘 해야할 일을 검토하고, 인터뷰 사전 질문을 다듬었다. 마침 멘토님도 일찍 오셔서 전날 리스트업한 질문 목록을 보여드리고, 혹시 기업에서 예민하게 생각할 질문은 없는지, 불필요한 질문은 없는지 피드백을 받았다. 라포형성을 위해 가볍게 시작하는 질문에서는 질문보다는 긍정적인 사용 후기를 말하기 질문을 할 때 조사한 내용을 첨가해서 관심도 표현하기 정보 제공과 같이 기업에서 예민한 부분은 직접적으로 요구하기 않기 어떤 글을 쓰..

서비스기획 2023.05.31

[체인저스 마포2기 TIL 챌린지] 기업 협력,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 5/30

오늘은 아주 바쁘고, 피곤했지만 그만큼 보람찬 날이다. 바로 기업 협력을 확정 짓고, 이에 맞춰서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를 처음부터 진행했다. 기업 협력 자 기분좋게 기업 협력을 먼저 얘기해보자 오늘 오전에 우아한 형제들로부터 답신이 왔고, 협력이 거의 확정되었다. 우리를 담당해주실 실무자 분은 셀러서비스실의 셀러시스템팀의 PM이셨다. 해당 메일을 받을 당시에는 배민에서 어떤 업무를 맡고 있는 팀인지 감도 오지 않았다. 그래서 배민을 대상으로 디자인 스프린트를 재개하기 전에 사전 리서치를 했다. 내가 조장이었기 때문에 전날 미리 리서치할 주제를 나눠놓았었다. 주제를 나눌 때는 컨택할 팀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라 배민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나눴었다. 기업의 미션과 비전 서비스의 핵심가치 시장매력도(블로그, ..

서비스기획 2023.05.30

[TIL] 서비스 기획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기업협력 - 5/26

서비스 기획을 시작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 내가 하고 싶어야 한다. → 기획에는 많은 에너지가 들어간다. 에너지를 쏟으려면 애정이 있어야 하는데 내가 하고 싶지 않으면 애정을 쏟기 힘들다.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여야 한다. → 유의미한 숫자의 사용자가 없으면 서비스가 지속가능하지 않다. Agile하게 개발해야 한다. → 이전 포스트 참고 https://rhaxxoddl.tistory.com/6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고객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TIL] 개발 방법론, 서비스 기획 단계, PMF - 5/9 개발 방법론 서비스 기획은 개발 방법론에 따라 규모나 주기가 바뀐다. 많이 사용하는 개발 방법론에는 Waterfall, Agile 이렇게 두 방법이 있다. 과..

서비스기획 2023.05.26

[TIL] Figma 실습 프로젝트 발표, 기업 협력 - 5/25

오늘은 3일동안 고생했던 프로토타입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마지막까지 UI 배치, 디자인을 수정하고, 프로토타입 QA에 발표 준비까지 하느라 바빴다. 발표할 때 시각자료를 준비해야 하나 고민이 많았는데 팀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웹 버전의 랜딩페이지를 만들었다. 팀원들이 금손이라 금방 뚝딱뚝딱 만들어주더라 ㅋㅋㅋㅋ 진짜 이미 서비스하고 있는 거 같은 랜딩페이지 아닌가? 그리고 최종적으로 내가 프로토타입을 하나하나 돌려보면서 발표 스크립트를 짰고! 대망의 발표시간 다른 조들의 발표를 봤는데 대박.... 내 발표준비에서 부족한 점을 너무도 많이 찾았다. 색 팔레트를 선정한 이유 UI 배치의 의도 IA 등등 이번 실습은 Figma로 UX를 디자인 하는 거였는데 조금 기본적인 부분을 설계하지 않고 들어간게..

서비스기획 2023.05.25

[TIL] 팀 프로젝트 리딩, 피그마를 이용한 프로토타이핑, 기업 협력 - 5/24

팀 프로젝트 리딩 오늘도 정신없는 하루를 보냈다. 일단 오전에 작업하다가 작업물이 통째로 날아가서 1차로 멘붕이 왔다. 조원이 히스토리 기능을 찾아 되돌려서 살아나기는 했다. 2차 멘붕은 MVP로서 정말 서비스할 수 있게 로그인에 약관까지 넣고, 회원가입, 자기 정보 수정까지 프로토타입을 설계했고, 페이지를 만들었는데 강사님께서 애초에 3일도 채 안되는 작업기간으로는 바라지도 않던 규모였다. 다들 피그마를 기존에 해봤다면 가능하지만 대부분 이번 교육을 통해 처음 사용해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힘든 분량이었다. 그리고 처음하는 기획이라 머릿속이 새하얗게 변해서 리딩하지 못하고, 조원이 답답해서 나설 때까지 시간을 허비했다. 이 경험으로 2가지를 깨달았다. 첫째는 조장이라고 무조건 전 과정을 이끌어야 한다는 ..

서비스기획 2023.05.24